728x90
반응형


1. UX/UI란?

 

UI : User Interface의 약자로, 제품과 사용자 사이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체적인 수단이나 매개체를 뜻

 

UX : User eXperience의 약자로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

 

ex) 존(사용자) 이라는 사람이 배가 고파 시러얼(제품)을 먹으려 함

시리얼을 먹기 위해서는 그릇과 숟가락, 시리얼과 우유가 필요한데 존 이 시리얼을 먹기 위해서 사용한

그릇과 숟가락은 UI가 되고 존 이 배가 고파 시리얼을 먹기 고민하는 것 부터 시리얼의 고소한 냄세와 맛, 먹고나서

포만감을 느끼는 것 까지가 UX.

 


 

2. UX/UI 디자이너의 역할

 

UI 디자이너 :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와 시각적인 요소들을 디자인하는 사람, 화면 간의 관계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디자인하는 것에 집중함

 

UX 디자이너 :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람. UI 디자이너보다 업무에서 조사와 분석의 비중이 큼

 

프로덕트 디자이너 : UI와 UX를 포함하여 제품 전반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람, 사용자가 경험하는 제품의 시작과 끝 모두를 담당하며, 반복적인 개선을 통해 제품을 고도화하는 일에 집중함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주 업무는 문제 정의, 가설 설정, 솔루션 도출, 테스트 등이 있다.


UX와 UI 디자이너는 기업마다 조금씩 이름도 다르며 역할과 업무도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UX/UI 디자이너를 지망한다면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잘하고 하고 싶은지에 따라 어떤 디자이너가 될 것인지 선택이 중요하다.

 

내가 어떤 직무를 선택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기업 JD 분석을 통해 UX/UI 다자이너의 업무와 필요 역량을 요구하는지 채용 중인 회사의 공고를 살표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문 : 
https://www.instagram.com/p/C2wq_qsugy7/?igsh=encwaDZtcWducXdu&img_index=2

 

" 누구에게나 선명하게 보이는 폰트를 개발하고 싶었어요 " 

 

국내 65세 이상 인구 20% 돌파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를 진입하였다.

 

나이가 늘어남에 따라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이 감소해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이며 40대 초반 ~ 60대까지 진행한다.

매일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접하는 현대인에게는 고질병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시력 약자들은 작은 글씨를 기피하게 되며

젊은이들에게 도움을 청할 수 밖에 없게된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과 장애인들에게는 그 것 조차 쉬운 일 또한 아닐 수 없는게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장애인과 고령자의 불편에 대한 공감도가

그리 높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우린 그들에 대한 

인식이 바뀔 필요가 있다.

 

누구나 노안은 피할 수 없고, 시력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는 보장 또한 없다.

 


 

디올연구소의 이종근 대표

이렇게 말했다.

 

"타인의 불편함을 헤아리는 게 쉽지 않다면,

'나의 사소한 불편'부터 주목해 보길 권합니다."

 

1990년대 초반, 장애인이 운전면허를 딸 수 있는 시험장은 

전국에 단 두곳 뿐인 곳에서 

100명 중 2명만이 직업을 가지고 있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전했다.

 

아이템은 '유니버설 디자인 폰트'

2017년 '디올연구소'를 시작으로

'디올폰트'를 개발 하였는데

글씨가 작아도 선명히 보는 게 특징이다.

 

꼬박 1년을 매달려 만든 '디올폰트'

국내 최초 상용 유니버설디자인폰트이다.

 

 

이미지 출처 : www.freepik.com


 

마치며,

 

디올연구소의 디올 폰트는 개발의 이유와 

기업의 아이덴티티가 확실했다. 

 

대표는 비장애인이 아닌 장애인으로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의 경험을 기준으로 '디올폰트'를 제작하였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UI/UX 디자인도 디자이너(or 기업)를 위한 디자인이 아닌 

사용자(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및 제품이기 때문에

"내가 먼저 사용자가 되어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인의 불편한을 헤아리는 게 어렵다면 

'나의 사소한 불편'부터 주목하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관심있는 기업

- nc소프트, 넥슨, valve, 크래프톤, 라이엇, 스마일게이트, 컴투스, 라이엇

2. 내가 가고 싶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 종류

 - 넥슨 / pc,모바일에서 다양한 게임 서비스 제공
 - 삼성바이오로직스 / 헬스케어

3. 서비스 별 주요 목적, 기능

a. 넥슨 : 게임산업
b. 타겟 : 20~40대의 남녀
c. 기능
 - 모바일, pc 게임 
 - 크리에이터즈 : 넥슨 게임 크리에이터 방송 
 - open api : 인게임 내 정보제공
 - 넥슨에센셜 : 굿즈 판매
 - 넥슨 링크 : beta_리모트 플레이(게임 기기와 다른 디바이스가 함께 작동하도록 만들어주는 기능) 가능
 - 넥슨 퍼스트 : 출시 전 게임 플레이 가능
 - 스쿨존 : 올바른 게임 이용을 위한 서비스

4. 비슷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

- 넷마블, valve, 라이엇, 스마일게이트,엔씨소프트

5. 기업 조사

게임산업
1) 산업 전문 분야에서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인공지능(ai) 기술이 게임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 
- 김정태 교수 "사실상 AI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건 시간문제라 할 수 있다"
- 성수현 팀장 "긍정적인 영향이라면 AI를 통해 게임 상품의 질이 올라갈 것으로 본다. 그간 다양한 트리플 A 게임 회사들이 높은 비용 때문에 많이 힘들어했는데, AI 기술이 이를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2)웹 3.0 기반의 게임, 블록체인 게임 개발이 올해 화두로 부각될 전망
3) 게임 산업은 글로벌 영화산업, 북미 스포츠 산업, 음악 산업을 모두 합한 것보다 규모가 큼, 전세계 인구의 40%가 비디오게임을 즐기며 2021년 31억명이 게임을 했다. 미국에서는 4명중 3명이 게임을 할 정도

 




내가 생각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주) 넥슨
 *지원 자격
 - ux/ui 경력 3년 이상
 - 포토샵, unity NGUI 등 술의 사용에 능숙하신 분
 - 조직 내 협업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하신 분
 - 기초 드로잉 가능하신 분
 *우대사항
 - unity NGUI 경험이 있으신 분
 - UI 연출이 가능하신 분(파티클, 이펙트)
 - 타직군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신 분
 - 넥슨 게임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가지신 분

콘센트릭스서비스코리아(유)
*담당업무
 - 이커머스 웹사이트 UX/UI 운영 기획
 - UX/UI 기획 구축/운영 및 고도화
 - 이커머스 상품 등록 및 운영
 - 비주얼 콘텐츠 제작

*자격요건
 - 관련경력 1~4년
 - 화면 설계서 (스토리보드) 작성 가능
 - Figma 등 협업 툴 사용 경험
 - 웹, 앱 구축 경험
 - 웹 기획 및 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꼼꼼하고 책임감 있는 성향
 - 적극적인 학습 자세

*우대사항
 - 글로벌 웹사이트, .com 구축/운영 업무의 이해도가 높으신 분
 - UX/UI 이해도가 높으신 분
 - 관련 학과 졸업자

- 나의 생각
UX/UI 디자이너는 디자인 툴의 숙련은 물론 기획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전 직장에서도 하나의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을 했을때 기획하고 프로젝트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았었는데 나 혼자 모든 일을 하게 되면 성공한 기획이 나올 가능성이 많이 낮았습니다. 조직을 돌봐야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힘들었는데 UX/UI 디자이너에게는 꼭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직업인 만큼 유행에 민감해야하고, 트렌드 흐름을 읽을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은 당연하고요.
중요한건 포트폴리오를 잘 준비하고 트렌드를 꾸준히 학습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