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
https://www.instagram.com/p/C2wq_qsugy7/?igsh=encwaDZtcWducXdu&img_index=2
" 누구에게나 선명하게 보이는 폰트를 개발하고 싶었어요 "
국내 65세 이상 인구 20% 돌파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를 진입하였다.
나이가 늘어남에 따라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이 감소해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이며 40대 초반 ~ 60대까지 진행한다.
매일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접하는 현대인에게는 고질병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시력 약자들은 작은 글씨를 기피하게 되며
젊은이들에게 도움을 청할 수 밖에 없게된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과 장애인들에게는 그 것 조차 쉬운 일 또한 아닐 수 없는게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장애인과 고령자의 불편에 대한 공감도가
그리 높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우린 그들에 대한
인식이 바뀔 필요가 있다.
누구나 노안은 피할 수 없고, 시력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는 보장 또한 없다.
디올연구소의 이종근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타인의 불편함을 헤아리는 게 쉽지 않다면,
'나의 사소한 불편'부터 주목해 보길 권합니다."
1990년대 초반, 장애인이 운전면허를 딸 수 있는 시험장은
전국에 단 두곳 뿐인 곳에서
100명 중 2명만이 직업을 가지고 있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전했다.
아이템은 '유니버설 디자인 폰트'
2017년 '디올연구소'를 시작으로
'디올폰트'를 개발 하였는데
글씨가 작아도 선명히 보는 게 특징이다.
꼬박 1년을 매달려 만든 '디올폰트'는
국내 최초 상용 유니버설디자인폰트이다.
마치며,
디올연구소의 디올 폰트는 개발의 이유와
기업의 아이덴티티가 확실했다.
대표는 비장애인이 아닌 장애인으로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의 경험을 기준으로 '디올폰트'를 제작하였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UI/UX 디자인도 디자이너(or 기업)를 위한 디자인이 아닌
사용자(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및 제품이기 때문에
"내가 먼저 사용자가 되어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인의 불편한을 헤아리는 게 어렵다면
'나의 사소한 불편'부터 주목하자"
'[UI_UX] > [아티클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스터디]전지적 UX디자이너 시점 인터뷰 (0) | 2025.04.22 |
---|---|
[아티클스터디]사소함에서 시작한 10가지 UX 사례 (2) | 2025.04.21 |
[아티클스터디] 명확한 UI 디자인을 만들어야하는 이유 (0) | 2025.04.17 |
[아티클스터디]UX 디자이너가 AI를 바라보는 관점 (0) | 2025.04.16 |
[아티클 스터디] 2025년 대표적인 UI 디자인 트랜드 '9가지'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