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 정렬 + 질문별 맞춤 선택지

장점

• 소비자는 리뷰를 남길때 깊은 고민없이 리뷰를 작성할 수 있음

• 상세 리뷰를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압박감이 줄어들게 됨

• 판매자는 필요한 정보, 제시된 '예상, 설명, 기대'와 같은 제품성 외에 부가적인 제품 평가 요소를 얻을 수 있다.

•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

• 개발 단계에서의 편의성

 

단점

• 리뷰를 쓰는게 귀찮고 힘든 사람들은 지문별 맞춤은 더 번거롭게 느껴짐

• 소비자들에게 상세한 피드백을 받는게 힘들 수 있음

• 모든 질문과 답의 맥락이나 형식이 동일하지만 사용자가 그것을 빠르게 인식할 수 없음

 

 

가로 정렬 + 이모지 활용

장점

• 단순하고 직관적임

• 부족한 설명들을 적을 수 있게 만듬

• 소비자들은 빠르고 간편한걸 더 선호할 것 같음

• 판매자들은 더 직관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음

• 귀여운 이모티콘이 들어가서 리뷰를 쓰는 곳(기능)이란 걸 쉽게 알 수 있음

 

단점

• 개발 단계에서 그래픽 요소가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음 

• 사용자에게 '사용자 후기가 서비스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라는 인식을 줄 수있다.

 

 

결론

상황에 따라서 목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이나 가전제품 상품 같은 상품 판매를 하는 서비스에서는 A안이 

더 잘 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맛집 같은 서비스에서는 B안 같은 서비스가 오히려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급자가 어떤 정보 형식을 원하는지와 사용자가 어떤 사용감을 제공할 것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좋을 듯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