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 정렬 + 질문별 맞춤 선택지
장점
• 소비자는 리뷰를 남길때 깊은 고민없이 리뷰를 작성할 수 있음
• 상세 리뷰를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압박감이 줄어들게 됨
• 판매자는 필요한 정보, 제시된 '예상, 설명, 기대'와 같은 제품성 외에 부가적인 제품 평가 요소를 얻을 수 있다.
•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
• 개발 단계에서의 편의성
단점
• 리뷰를 쓰는게 귀찮고 힘든 사람들은 지문별 맞춤은 더 번거롭게 느껴짐
• 소비자들에게 상세한 피드백을 받는게 힘들 수 있음
• 모든 질문과 답의 맥락이나 형식이 동일하지만 사용자가 그것을 빠르게 인식할 수 없음
가로 정렬 + 이모지 활용
장점
• 단순하고 직관적임
• 부족한 설명들을 적을 수 있게 만듬
• 소비자들은 빠르고 간편한걸 더 선호할 것 같음
• 판매자들은 더 직관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음
• 귀여운 이모티콘이 들어가서 리뷰를 쓰는 곳(기능)이란 걸 쉽게 알 수 있음
단점
• 개발 단계에서 그래픽 요소가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음
• 사용자에게 '사용자 후기가 서비스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라는 인식을 줄 수있다.
결론
상황에 따라서 목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이나 가전제품 상품 같은 상품 판매를 하는 서비스에서는 A안이
더 잘 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맛집 같은 서비스에서는 B안 같은 서비스가 오히려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급자가 어떤 정보 형식을 원하는지와 사용자가 어떤 사용감을 제공할 것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좋을 듯하다.
'[UI_UX] >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카타]페이 결제 시, 카드 선택의 사용성이 더 편리한 UI는 어떤 것인가요? (0) | 2025.05.01 |
---|---|
[디자인 카타]사은품 증정 방식 어떤게 눈에 더 잘 들어올까? (0) | 2025.04.30 |
[디자인 카타]보안 비밀번호 입력 유저 경험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 2025.04.29 |
[디자인 카타]읽은/읽지 않은 메시지 어떻게 구분할까? (2) | 2025.04.28 |
[디자인 카타]콘텐츠 썸네일의 타이틀 노출 형태에 대한 생각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