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정의
“2030 청년층은 사이렌 오더 주문 과정에서 매장 정보 부족으로 인해
외부 서비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게 되며 매장 선택 과정에서 피로감을 느낀다.”
저희는 2030 세대 사용자를 주타겟층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누구의 문제인가? → 20대 사회 초년생
어떤 행동에서 문제가 발생하는가? → 매장 방문 전, 매장 위치 및 사진 정보가 부족하여 외부 서비스를 통해 매장을 검색
이 문제로 인해 어떤 불편을 느끼는가? → 앱 내의 매장 정보에 대한 의심
이 문제로 인해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 매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피로감을 느낌
지난 시간 배운 좋은 문제 정의의 예시를 배운 것을 토대로 문제정의를 해보았습니다.
[UX 미니 프로젝트] 사용자의 문제를 정의하는 방법
UX 디자인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과제 새로운 팀원들과 함께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저번 과제의 실수를 피드백받아서 이번 프로젝트에는 더욱 완성도
wcaxc5215.tistory.com
20대의 사회초년생으로 선정한 이유 : 리서치 과정에서 20,30대의 앱 사용자들이 주문 관련 단계에서 UX 불편 사항들을 취합했기 때문입니다.
행동 선택 이유 : 스타벅스 매장의 분포도가 대부분 대도시 지역에 밀집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스벅 매장을 선정할 때의 어려움이 앱에서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불편함 선택 이유 : 앱 사용시 주문 후 결제, 그리고 픽업까지 이어지는 플로우의 가장 첫 단계인 매장 선택에서
사용자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는 경우를 인사이트로 도출하였습니다.
2. 유저 플로우
작성한 문제 정의에서 사용자들이 앱 사용시 어떤 화면에서 또는 어떤 행동에서 어떤 문제점을 느낄지 유저 플로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오늘의 한 줄 요약
팀 프로젝트는 시간이 순삭이다...
'[UI_UX] > [디자이너 한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이머 배우기]프레이머 기본 인터페이스 알아보기 (1) | 2025.06.24 |
---|---|
[UX 미니 개선 프로젝트] 스타벅스 앱 경쟁사 분석, 아이디어 도출 (1) | 2025.06.19 |
[UX개선 미니 프로젝트] 스타벅스 어플 서비스 선정과 사용성 조사 (0) | 2025.06.17 |
[UX 미니 프로젝트] 사용자의 문제를 정의하는 방법 (1) | 2025.06.16 |
[UX 리서치]구글 캘린더 렌딩 페이지 개선 (5)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