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업데이트 전(A)의 문제점
- 시각적 계층 구조 부족
- 채널 정보, 구독 버튼, 좋아요 등 주요 기능들이 동일한 시각적 레벨에 위치해 사용자 시선이 분산됨.
- 텍스트 중심 UI로 콘텐츠 소비 흐름이 끊김.
- 기능 밀집 및 혼잡도
- 너무 많은 액션 버튼이 같은 위치에 있어서 정보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 발생.
- 구독 버튼이 눈에 띄지 않음
- 붉은색 강조는 있지만 다른 요소들과 너무 가까워 클릭 유도가 떨어짐
✅ 업데이트 후(B)의 개선 포인트
- 정보 구조 단순화
- 채널명과 구독 버튼을 한 줄로 묶고, 액션 버튼을 그 아래 배치해 시각적 흐름을 수직으로 정리.
- 사용자 시선이 영상 제목 → 채널 정보 → 버튼 순서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구성.
- 버튼 아이콘 강조 + 여백 확대
- 각 버튼에 더 넓은 터치 영역이 부여되어 모바일 사용성 향상.
- 버튼 사이 간격이 넓어져 오작동 가능성도 줄어듦.
- 구독 버튼의 강조 유지
- 여전히 눈에 띄지만 더 정돈된 형태로 제공됨. 정보 위계 안에서 자연스럽게 주목됨.
- 댓글 진입이 쉬워짐
- 댓글 섹션이 더 가까이 배치되어 사용자 인터랙션 유도 강화.
결론
"주의 분산 최소화, 모바일 최적화, 터치 편의성 향상"이라는 명확한 UX 목적 하에 설계된 것으로 보임
728x90
반응형
'[UI_UX] >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카타]셀렉터 형태 어떤 것을 선택할까? (0) | 2025.06.02 |
---|---|
[디자인 카타]이미지 슬라이더 인디케이터의 유무 어떤 것을 선택하시겠어요? (0) | 2025.05.29 |
[디자인 카타]지도 서비스의 길 찾기 UI중 효과적인 것은? (1) | 2025.05.27 |
[디자인 카타]상품 카테고리 이미지 vs 일러스트? (0) | 2025.05.23 |
[디자인 카타]OTT 서비스의 회차 정보 UI 디자인에 어떤 의도가 있을까? (0) | 2025.05.15 |